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환경 보호
- 플라스틱 재활용
- 재활용 기호
- 이사업체 고르는 법
- 쓰레기 분리수거
- 연약지반 지역
- 신안산선 공사
- 월세사기예방
- 친환경 생활
- 생활 속 환경 보호
- 환경보호
- 전입신고
- 환기 요령
- 이사 종류
- 분리배출
- 내돈내산
- 재활용 상식
- 재질 분류
- 이사 준비
- 관악구 도로 균열
- 포장이사
- 분리수거
- 땅꺼짐 사고
- 세먼지
- 매매주의사항
- 자취 이사
- 싱크홀 전조 증상
- 트럼프관세
- 아이폰17
- 생활꿀팁
Archives
- Today
- Total
사필귀정
[생활정보] 축의금·조의금 봉투에 이름 쓰는 법, 헷갈릴 땐 이렇게! 본문
반응형
경조사를 맞이하면 꼭 챙겨야 하는 게 바로 축의금이나 조의금 봉투 작성입니다. 하지만 막상 쓰려면, 이름을 어디에 써야 하지? 하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이 글에서는 축의금·조의금 봉투에 이름 쓰는 위치와 함께, 전통적인 예절과 요즘 트렌드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축의금·조의금 봉투, 이름은 어디에 써야 할까?
구분 | 이름 쓰는 위치 | 예시 |
---|---|---|
축의금 (결혼식 등) |
봉투 앞면의 왼쪽 아래 | 홍길동 드림 |
조의금 (부고, 장례식) |
봉투 앞면의 오른쪽 아래 | 홍길동 배 |
💡 전통적인 이유는?
사람들은 흔히 “왜 굳이 왼쪽/오른쪽이 정해졌을까?” 하는 의문을 갖죠. 사실 이건 동양의 음양 사상에서 비롯된 풍습이에요.
- 축의금 → 왼쪽 (양/陽) = 기쁜 일
- 조의금 → 오른쪽 (음/陰) = 슬픈 일
기쁜 일엔 ‘양’의 기운을 담고, 슬픈 일엔 ‘음’의 방향을 따르는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셈이죠.
📝 요즘은 이름을 어디에 쓰는 게 좋을까?
요즘은 봉투 중앙 하단에 이름을 쓰는 사람도 많아요. 특히 정해진 규칙보다 ‘깔끔하고 보기 좋게’ 작성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추세죠.
하지만 격식 있는 자리에 참석할 경우에는 전통적인 방향(축의금은 왼쪽, 조의금은 오른쪽)을 따르는 것이 더 정중한 인상을 줄 수 있어요.
🧑🤝🧑 상황별 이름 쓰는 방법
1. 개인이 낼 때
- 축의금: 이름만 적거나, “홍길동 드림”
- 조의금: 이름만 적거나, “홍길동 배”
2. 부부가 함께 낼 때
- 보통 남편 이름만 적는 경우가 많지만, 부부가 동등하게 낸다면
“홍길동·김영희 드림(또는 배)” 형식으로 적습니다.
3. 친구들끼리 함께 낼 때
- 3명 이내일 경우: 모두의 이름을 적습니다. (예: 김철수·이민호·박진우 드림)
- 그 이상일 경우: “○○일동”으로 쓰고, 안쪽 봉투나 종이에 명단을 따로 적습니다.
4. 회사/부서 이름으로 낼 때
- 회사 전체 명의일 경우: “○○회사 일동”
- 부서 명의일 경우: “○○팀 일동” 또는 “○○부서 일동”
5. 대표로 한 명이 대신 낼 때
- 대표자가 대신 내더라도 뒤에 ‘외 ○명’을 붙입니다.
예: “홍길동 외 3명 드림” (받는 분이 다른 사람 이름도 알 수 있도록 배려!)
💡 그 외 유의할 점
- 글씨는 정자체로, 검은색 펜 사용
- 절대 볼펜이나 색펜은 사용 금지 (특히 조의금은 더욱 주의)
📌 정리하자면?
축의금은 ‘드림’, 조의금은 ‘배’
단체 명일 경우 ‘일동’, 대신 낼 경우 ‘외 ○명’
상황에 따라 격식 있게 이름을 작성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마무리 한마디
축의금과 조의금 봉투 작성은 단순히 이름을 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경조사는 예의와 배려가 중요한 자리인 만큼,
작은 봉투 하나라도 정성스럽고 바르게 작성하는 것이
진심을 전하는 첫걸음이에요. 이 글이 헷갈렸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앞으로 경조사 자리에 가게 되면, 이 글을 떠올려서 정확하고 예의 있는 봉투 작성 해보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내용이 도움되었다면 공감♥ 을 꾹~ 눌러주세요!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속 환경 보호] 생활 속 친환경 실천 방법 5가지 (11) | 2025.04.17 |
---|---|
플라스틱의 진짜 기준: 재활용 되는 플라스틱과 안 되는 플라스틱의 차이 (1) | 2025.04.17 |
[마음을 전하는 문자 예시] 장례식장에 가지 못할 때, 이렇게 위로하세요 (1) | 2025.04.16 |
🕳️ 서울 도심 속 싱크홀, 왜 자꾸 생기고 어디가 위험할까? (1) | 2025.04.15 |
🌍 4월에 눈·우박까지? 이상기후 현상 속 2025 여름은 얼마나 더울까? (1) | 2025.04.14 |